REST API
-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
: 자원의 이름으로 구분,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

what is REST API ?
API
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
- 데이터와 기능의 집합을 제공
- 컴퓨터 프로그램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며, 서로 정보를 교환 가능하도록 하는 것
- ex) python의 출력을 위한 print, 자바 스크립트의 document.wriite
REST API
REST 기반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한 것
- 기계와 기계가 통신하는 규칙
- web의 통신규약인 http를 이용한다.
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
- 월드 와이드 웹 (W3)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
- 프로토콜(protocol) : 컴퓨터 내부 혹은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, 규칙의 집합
-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/응답(request/response) 프로토콜
- 남의 컴퓨터를 실행시키는 명령어
- 자원 (Resource)을 명시하고
- Resource
- Collection : 자원(데이터)의 집합 ( 복수형 표현 )
- Element : 각각의 자원 ( 단수형 표현 )
- Method
: 정보(Resource)에 대한 가공방법- Create : post
- Read : get
- Update : put / patch
- Delete : delete

fetch('topics/2', {meothod: 'DELEETE'})
적용시킬 resource를 지정 후, 적용할 method를 호출한다. (client)

fetch('topics/1/comments', {
method: 'GET'
})
- topics : 상위 자원 (parents resource)
- 1 : 하위 자원 (children resource)
이번에는 간단하게 동작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정리했다.
REST, RESTful, HTTP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공부해봐야겠다.
반응형
'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생활코딩]WEB2 - Python (0) | 2021.07.19 |
---|---|
[생활코딩] WEB1 - HTML&Internet (0) | 2021.07.19 |